본문 바로가기

호평7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1-12. 시장의 파리 떼에 대하여 “ 달아나라, 나의 벗이여, 그대의 고독 속으로! 내가 보기에 그대는 위인들의 소음에 귀먹고, 소인배들의 가시에 마구 찔리고 있다. ” 사람은 생존을 위해 집단을 이루어 살아왔다. 집단을 이끄는 소수 집권자인 위인의 말과 행동만이 정답이 된다. 그래서 집단은 공동체라는 명목하에 때로는 개인의 의견을 간과하고 무시한다. 우리는 그런 집단 속에서 굴복하고 상처받으며 살아가는 것이다. 차라투스트라는 우리가 처해있는 이런 환경을 시장, 그 시장을 구성하는 사람들을 파리 떼라 말하는 것 같다. " 숲과 바위는 그대와 더불어 기품 있게 침묵할 줄을 안다. ···그 나무는 조용히 귀 기울이며 바다 위로 넓은 가지를 펼치고 있다. " 우리에게 상처를 주는 환경이 시장과 파리 떼라면 반대로 우리를 치유해 주는 것은 숲과.. 2023. 2. 12.
해리포터와 마법사의 돌 제1권 하: 허상 크리스마스 선물로 아버지의 투명망토 받은 해리포터, 플라멜에 대해 알기 위해 도서실의 제한구역으로 향한다. * 플라멜 : 마법사의 돌을 만든 인물 하지만 기숙사 사감인 필치의 순찰로 인해 오랫동안 사용되지 않았던 교실에 숨게 된다. 그리고 그곳에서 테두리가 화려한, 황금 장식으로 꾸며져 있는 거울을 발견한다. Erised stra ehru oytube cafru oyt on wohsi I Show Not Your Face But Your Heart's Desire 진실이 아닌 욕망과 꿈을 보여주는 소망의 거울, 그 거울은 해리는 마음속 깊은 곳에 있던 '부모님을 보고 싶다'는 마음을 끄집어 내준다. 부모님을 보고 싶었던 해리는 다음날에도 그다음 날에도 소망의 거울을 찾아간다. 3일째 되던 날, 해리는 그.. 2023. 2. 1.
정리하는 뇌: 2-1. 집 안의 정리 집안의 정리는 뇌의 활용법에서 얘기했던 정보의 외부화와 범주화가 핵심이다. 외부화는 쓸데없는 정보들을 뇌에서 빼냄으로써 뇌의 효율성을 높여줄 수 있으며, 범주화는 뇌에서 내리는 판단들을 한대 묶어 판단의 속도를 높여준다. 즉, 집 안의 일에 대해서는 뇌가 최대한 신경을 쓰지 않는 방향으로 정리하는 것이 목적이다. 집 안의 물건들로 인해 신경을 써야 하는 일들은 우리 삶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외출을 하려는데 차 열쇠가 보이지 않는다던가, 기껏 차 앞까지 왔더니 스마트 폰은 집에 놓고 왔다던가, 캐비닛에 넣어놨던 손톱깎이가 보이지 않아 한참을 찾아 헤맨다던가, 매번 외출을 하며 쓰레기를 버린다고 했던걸 깜빡한다던가, 막상 노래를 들으려고 에어팟을 찾는데 없다던가, 하지만 그 사소한 일들로 인해 버.. 2023. 1. 24.
유혹하는 글쓰기: 스티븐 킹의 창작론 언제부터인가 책은 읽는데, 머릿속에 남지 않는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어떨 때는 책 읽는 것이 시간을 버리는 건 아닌가 하는 불편한 감정마저 들었다. 이러면 안 되겠다는 생각에 기록을 해야겠다고 마음을 먹었고 내가 기억하고 싶은 문구 혹은 논리들을 기록하기 시작했다. 그렇게 보존력이 뛰어난 블로그를 운영하게 된 것이다. 블로그란 공간이 개방적이다 보니 이왕이면 잘 쓰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글쓰기에 관련된 책을 읽게 되었는데, 그 첫 번째 책이 『글쓰기, 생각쓰기』었다. 글쓰기, 생각쓰기: On Writing Well 블로그를 시작하기 전, 나의 독후감은 그저 책에 있는 좋은 글귀를 정리하는 수준이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 다시 읽어보니, 대부분 앞뒤 맥락이 맞지 않았고 내가 무슨 생각으로 .. 2023. 1. 16.
이 방에서 가장 지혜로운 사람: 2부. 지혜로운 사람으로 사는 법 2부. [ 지혜로운 사람으로 사는 법 ] 1부는 마음속에서 일어나는 심리를 중심으로 다뤘었다. 구체적으로 객관적이라는 환상을 초월하는 법과 주변 환경과 상황을 활용하는 법에 대해 알아볼 수 있었고 언어와 행동이 갖는 힘과 시야를 넓힐 수 있는 지혜를 배울 수 있었다. 뒤이어 2부에서는 개인적·사회적 현상과 관련한 지혜를 다룬다. 행복한 삶을 사는 지혜, 갈등을 해결하는 지혜, 리딩을 하는 지혜, 환경을 지키는 지혜, 이제부터 네 가지 지혜에 대해 알아보자. 6장. 이 방에서 가장 행복한 사람은 누구인가 " 기쁨은 영원히 지속되지 않는다. ··· 슬픔도 마찬가지다. 사람은 환경이 바뀌더라도 그 변화에 곧 익숙해지며, 그 변화가 가져다주는 고통과 기쁨은 시간이 지나면 소멸한다. " 감정이란 것은 행복과 불행.. 2022. 11.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