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도서/경제12

비트코인과 블록체인 가장자산의 실체 2/e: 3부. 블록체인의 한계점 1부(비트코인이란)와 2부(하드포크와 소프트포크)를 통해 블록체인 기술이 어떻게 비트코인을 이루고 있는지에 대해 알아봤고 어떤 방식으로 업그레이드가 이뤄지는지에 대해서도 알아볼 수 있었다. 마지막 3부는 비트코인이 탄생하게 된 목적과 그 목적에 맞게 쓰이지 못하는 한계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비트코인의 목적 2009년, 사토시 나카모토(Satoshi Nackmoto)는 비트코인을 세상에 꺼내 놓았다. 그의 논문 「비트코인: 개인 대 개인의 전자 화폐시스템」을 통해 알 수 있듯, 비트코인의 목적은 금융기관을 대체하고 완벽한 전자화폐 시스템을 구축하여 개인 간 거래를 실현화하기 위함이다. 현재의 금융시스템은 제삼자가 거래를 보증해 준다. 중앙은행이 금융거래를 보증을 해주는 것이다. 지금 시스템은 신뢰성을.. 2023. 2. 8.
비트코인과 블록체인 가장자산의 실체 2/e: 2부. 소프트포크와 하드포크 1부에서 블록체인(Block Chain)이란 어떤 것인지 알아보았다. 블록(Block)이란 거래내역을 기록하는 저장단위이고 블록들이 일렬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시스템을 가리켜 체인(Chain)이라 말하는 것이다. 그리고 전산학적 정의로는 익명의 비동기화 네트워크에서 발생하는 사건들을 중앙 서버의 관여 없이도 일관성 있게 순서를 정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 2부. 소프트포크와 하드포크 ] 블록체인은 탈 중앙화 시스템으로 중앙 서버가 없다. 그래서 소프트웨어의 유지보수가 지극히 힘들며 일관성을 유지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 때문에 필요한 것이 ‘하드포크(Hard Fork)’와 ‘소프트포크(Soft Fork)’이다. 하드포크 새로운 규칙을 따르는 노드가 생성될 경우 영원히 2개로 분.. 2023. 2. 7.
비트코인과 블록체인 가장자산의 실체 2/e: 1부. 블록체인이란 2017년 비트코인이 모습을 드러냈다. 가상화폐 거래소를 통해 비트코인의 가치가 측정된 것이다. 비트코인의 가치는 일순간 몇 백, 몇 천만 원을 상회했고, 그 모습을 본 사람들은 대부분 마음을 빼앗기고 말았다. 당시 어딜 가든 비트코인 얘기뿐이었다. 실체가 있다, 없다. 차세대 자산군이다, 아니다. 미래의 금융 시스템이 될 것이다, 아니다. 진실이 무엇인지 알지 못한 체 그렇게 3년 동안 갑론을박 속에 살게 된 것이다. 시간이 지나니 많은 기업들이 미래를 준비하기 위해 블록체인 기술에 뛰어들기 시작했다. 저마다 각자의 코인을 만들었고 거기에 가치를 부여했다. 이렇게 기업이 뛰어들면서 가치를 창출하려는 모습을 보며 블록체인 속에 내재된 그 가치가 궁금해졌고 나는 주변 사람이 아닌 책을 통해 블록체인에 대해.. 2023. 2. 6.
전설로 떠나는 월가의 영웅 책 『전설로 떠나는 월가의 영웅』은 펀드매니저들의 투자 입문서적으로 불리울 만큼 주식투자를 하는 사람들에게 있어 필수적인 책이다. 그에 대해 간단히 얘기하자면 피터린치는 월스트리트에서 활동한 투자자다. 06년 기준으로 그의 순자산은 35,200만 달러(한화 약 3,800억)를 기록했으며 그의 위상은 워런 버핏, 존 보글, 벤저민 그레이엄, 필립 피셔와 어깨를 나란히 한다. 그는 1994년 1월 미국에서 태어나 펜실베이니아대학교 와튼스쿨을 석사로 졸업하였고 77년까지는 마젤란 펀드 대표로 있었으며, 이후 90년까지 피델리티 펀트 매니저로 활약하였다. 피터린치는 ‘발로 뛰는 투자’를 강조하고 중소형 개별주 투자를 추천한다. 지금부터 그가 인생을 걸고 깨달은 투자 마인드와 주식 종목 선정 기준을 한수 배워보도.. 2023. 1. 10.
내일의 부2 - 오메가: 세상에서 가장 빨리 부자 되는 법. '알파'편에 이어 『내일의 부』 오메가 편도 미국 중심으로 자본시장을 서술한다. 미국이 패권을 쥐게 된 역사를 한층 더 깊게 이해할 수 있도록 부수적인 설명이 추가되었으며, 미국-중국의 경제 상황과 두 국가의 대립이 앞으로 어떤 미래를 만들어 갈지 저자의 견해를 소신 있게 보여준다. 책은 크게 '세계 경제의 역사'와 경제 역사 연구를 기반으로 구축한 '자신만의 투자 지침, 부를 창출할 수 있는 매뉴얼'을 공유해준다. [ 세계 경제의 역사 : 미국과 자본주의 ] 1861~1865년, 남북전쟁의 진실 링컨은 정말 순수한 목적으로 노예를 해방시키기 위해 남북전쟁을 일으켰을까? 아니다. 그것은 철저한 경제전쟁이었다. 당시 미국의 북쪽은 제조업 기반이었으나, 남쪽은 농업 기반 체제였다. 제조업은 생산성 향상과 소.. 2022. 9.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