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이야기87 총, 균, 쇠: 2부. 식량 생산의 기원과 문명의 교차로 “ 어떻게 《 총, 균, 쇠 》의 발전이 아프리카가 아닌 유럽이 우세했던 것일까? ” 질문에 대한 답은 식량 생산에 있다. 식량 생산을 일찍 시작한 지역은 총기, 병원균, 쇠를 발전시킬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을 조성할 수 있었다. 수렵 채집은 시간이 지날수록 야생 먹거리의 감소로 생산성이 떨어진다. 또한 인류의 경험이 늘어남에 따라 작물화할 수 있는 야생 식물은 증가하였고 식량 생산에 필요한 각종 기술이 발달함으로써 식량 생산의 경쟁력이 수렵 채집의 경쟁력을 넘어서게 되었다. 이로 인해 인구 밀도는 증가하였고, 순환고리에 연결되어 있는 식량 생산은 촉진되었다. 초기 농경민들은 어떻게 각종 식물을 작물화 할 수 있었을까? 작물화가 되기 전의 식물은 인류가 식량으로써 활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았다. 한 가지 예.. 2022. 3. 27. 인간관계론: 2부. 사람에게 호감을 사는 6가지 방법 [관심·미소·경청…] #_1. 관심 대부분의 사람들은 타인에게 관심이 없다. 그래서 누군가 나에게 관심을 갖게 하는 것은 정말 많은 에너지 필요하다. 데일 카네기는 역발상으로 누군가에게 관심을 갖지 않는 세상에서 타인에게 관심을 갖는 사람이 되라고 제안한다. 생각해보면 대부분의 대화 속에서 대화 상대방은 모두 자신에 대한 얘기를 한다. 대화의 물고를 트는 주어는 주로 '나', '내가', '나는'이다. 사람들은 자신에 대해 얘기하고 싶은 만큼 누군가 자신에 대해 관심을 가져주길 바란다. 그래서 친구를 만들고자 한다면 첫째, 타인에게 관심을 주자. 나의 시간과 에너지를 투자하여 타인이 원하는 것을 아무런 계산 없이 도와주자. 둘째, 활기차고 열성적인 모습으로 상대를 대하자. 상대방은 이런 모습에 자신에게 진심으로 관심을 갖고 있.. 2022. 3. 25. 총, 균, 쇠: 1부. 인간 사회의 다양한 운명의 갈림길 책은 한 뉴기니인의 질문으로부터 시작됐다. “백인들은 그렇게 많은 화물들을 발전시켜 뉴기니까지 가져왔는데, 어째서 우리 흑인들은 그런 화물들을 만들지 못한 겁니까?” 한국, 중국, 일본은 미국과 유럽으로부터 신식 문물을 전달받아 활이 아닌 총으로 전쟁을 하였고, 말이 아닌 전차를 타고 이동을 하게 되었다. 물론 많은 고통이 수반되었지만 그렇게 바뀌어 나갔다. 나도 역사를 배우면서 종종 떠올렸던 생각이었다. “왜 우리가 미국과 유럽에 신식 문물을 전달해주지 못하고 받아야 했을까?” “어떻게 미국과 유럽은 우리보다 빠른 발전을 이뤄낼 수 있었을까?” 본 책은 이러한 차이가 1500년경 기술적·정치적 차이로부터 빚어졌다고 설명을 해준다. 그렇다면 그 기술적∙정치적 차이는 무엇으로부터 발생한 것일까? 대부분의 .. 2022. 3. 20. 인간관계론: 1부. 사람을 다루는 기본 원칙 [비난·인정·역지사지] " قبل أن تتكلم تأكد أن ما ستقوله أفضل من صمتك " "말을 할 때는 그 말이 침묵보다 나은 선택이어야 한다."라는 아라비아의 속담이다. 과거, 나의 말은 대부분 침묵보다 나은 적이 없었고 주변 사람들을 잃는 것을 넘어 나 자신을 깎아내리기 일수였다. 그래서 언젠가부터 대화법을 익히기 위해 연습하였고, 말에 관한 책을 읽기 시작했다. 대화법을 배우다 보니 한가지 알게 된 것은 대화는 나 이외의 타인과 하는 소통의 일부이고, 대화법으로 만은 침묵보다 나은 선택을 할 수 있는 폭이 적다는 것이다. 그래서 이것저것 찾던 중 데일카네기의 '인간관계론'을 발견하였고 대화의 근원이라고 할 수 있는 '인간관계'로부터 이해해보기로 하였다. 책의 첫 장을 펴니 인관관계의 중요성을 단번에 .. 2022. 3. 17. 말의 품격: 말과 사람과 품격에 대한 생각 "나만의 체취, 내가 지닌 고유한 인향은 내가 구사하는 말에서 뿜어져 나온다." ‘人香(인향)’ 이 책이 우리에게 깨닫게 해주고 싶은 궁극적인 목표다. 사람은 저마다 각자의 분위기를 갖고 있다. 그 분위기는 나이가 들수록 짙어지며, 그 사람의 가치관, 생각, 말씨 등이 반영된다. 내가 생각하고 있는 사람이 갖고 있는 분위기는 저자가 말하는 ‘인향’과 매우 흡사했고 글 속에 녹아있는 저자의 경험과 공유하며 점점 이 책에 빠져든 것 같다. #_1. 저자는 우리가 흔히 볼 수 있는 한자어들을 분해하여 깊은 속뜻을 전달해 주는데, ‘한자를 배워볼까’하는 생각이 들만큼 한자를 구성하는 문자와 뜻이 깊이 와닿는다. 한 가지 예로 수준이나 등급을 의미하는 한자인 品(물건 품)을 들 수 있다. 品은口(입 구)가 세 개.. 2022. 3. 14. 이전 1 ··· 14 15 16 17 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