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간관계2

정리하는 뇌: 2-2. 사회세계의 정리 원시 인류는 한없이 나약한 존재였다. 개체로서는 결코 정글에서 살아남을 수가 없었다. 그래서 혈연으로 한 소규모 집단을 가졌고, 나아가 인류의 생존과 영속을 위해 부족, 추장 사회, 원시 국가, 현대 국가로 그 집단 규모를 키워 온 것이다. 그래서 인류에게 있어 집단을 형성하는 것은 생존과 직결된다. " 사회적 고립은 흡연보다 훨씬 더 심각한 심장마비와 사망의 위험 요인이기도 하다. " 반대로 사회로부터 소외를 당하는 것은 생존을 위협하는 일인 것이다. 정글에서 인간 한 개체가 무리에서 떨어지게 되면 결국 포식자들의 먹이가 된다. 사회에서도 똑같다. 소외되면 정보와 기회를 얻기 힘들어지며, 신체적으로나 감정적으로나 혼자서 지탱해야 한다. 즉, 소외된 사람은 티 나지 않게 죽어가고 있는 것이다. 실제로도 .. 2023. 1. 25.
이 방에서 가장 지혜로운 사람: 1부. 지혜를 이루는 다섯 가지 기둥 아리스토텔레스曰 " 사물의 존재 이유와 근거를 올바르게 이해하는 것이 지혜다. " 지식을 가진 사람은 방법에 기반한 '무엇', '어떻게'에 초점을 맞추지만 지혜를 가진 사람은 이유, 근거에 기반한 '왜'를 이해한다. 책 『이 방에서 가장 지혜로운 사람』은 인간관계에서 '왜'를 알아야 하는 이유와 그 '왜'를 찾을 때 도움이 될 수 있는, 사람 사이의 심리적인 요소들에 대해 전해준다. 구체적으로는 지혜롭게 처신하기 위해 어떤 심리적인 요소들을 알면 좋을지, 실제 사례와 여러 심리학적 실험을 바탕으로 설명함으로써 심리적으로 지혜로운 사람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한 줄 평 " 인간관계를 지혜롭게 만들어 갈 수 있는 소소한 팁 " 1부. [ 지혜를 이루는 다섯 가지 기둥 ] * 지혜 : 일상의 기회와 시련에.. 2022. 10.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