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3

총, 균, 쇠: 3부. 지배하는 문명, 지배받는 문명 유럽인들은 비옥한 초승달 지대에서 시작된 식량 생산을 수용하여 다른 사회보다 빠르게 경쟁력을 갖출 수 있었고, 그 결과로 신대륙을 포함한 타 대륙에 진출하여 정복활동을 벌였다. 그렇다면 유럽인들이 빠른 식량 생산을 시작함으로써 갖게 된 경쟁력은 무엇이었을까? 그것은 바로 병원균, 문자, 기술발전, 중앙 집권적 정치 체제이다. 4가지 경쟁력이 어떻게 식량 생산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유럽인들이 비유럽인을 정복할 수 있었는지 알아보자. 첫 번째, 병원균 유럽인들이 신세계를 정복할 수 있게 해 준 사악한 선물, 인간을 죽게 하는 가장 큰 요인으로 역사를 변화시키는 결정적 요인으로도 작용했다. 실제로 제2차 세계대전에서도 전투 중 부상으로 사망한 사람보다 병원균에 의해 희생된 사람이 더 많다. 그렇다면 식량 .. 2022. 4. 13.
총, 균, 쇠: 2부. 식량 생산의 기원과 문명의 교차로 “ 어떻게 《 총, 균, 쇠 》의 발전이 아프리카가 아닌 유럽이 우세했던 것일까? ” 질문에 대한 답은 식량 생산에 있다. 식량 생산을 일찍 시작한 지역은 총기, 병원균, 쇠를 발전시킬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을 조성할 수 있었다. 수렵 채집은 시간이 지날수록 야생 먹거리의 감소로 생산성이 떨어진다. 또한 인류의 경험이 늘어남에 따라 작물화할 수 있는 야생 식물은 증가하였고 식량 생산에 필요한 각종 기술이 발달함으로써 식량 생산의 경쟁력이 수렵 채집의 경쟁력을 넘어서게 되었다. 이로 인해 인구 밀도는 증가하였고, 순환고리에 연결되어 있는 식량 생산은 촉진되었다. 초기 농경민들은 어떻게 각종 식물을 작물화 할 수 있었을까? 작물화가 되기 전의 식물은 인류가 식량으로써 활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았다. 한 가지 예.. 2022. 3. 27.
총, 균, 쇠: 1부. 인간 사회의 다양한 운명의 갈림길 책은 한 뉴기니인의 질문으로부터 시작됐다. “백인들은 그렇게 많은 화물들을 발전시켜 뉴기니까지 가져왔는데, 어째서 우리 흑인들은 그런 화물들을 만들지 못한 겁니까?” 한국, 중국, 일본은 미국과 유럽으로부터 신식 문물을 전달받아 활이 아닌 총으로 전쟁을 하였고, 말이 아닌 전차를 타고 이동을 하게 되었다. 물론 많은 고통이 수반되었지만 그렇게 바뀌어 나갔다. 나도 역사를 배우면서 종종 떠올렸던 생각이었다. “왜 우리가 미국과 유럽에 신식 문물을 전달해주지 못하고 받아야 했을까?” “어떻게 미국과 유럽은 우리보다 빠른 발전을 이뤄낼 수 있었을까?” 본 책은 이러한 차이가 1500년경 기술적·정치적 차이로부터 빚어졌다고 설명을 해준다. 그렇다면 그 기술적∙정치적 차이는 무엇으로부터 발생한 것일까? 대부분의 .. 2022. 3.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