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행복5

해리포터와 아즈카반의 죄수 제3권 상: 미래 아즈카반에서 탈출을 했던 시리우스 블랙은 볼드모트의 추종자가 아니라 해리를 진심으로 아끼는 제임스 포터의 진실된 친구였다. 시리우스 블랙은 제임스 포터가 살아생전 해리의 대부가 되어 주겠다고 약속도 했었다. 오히려 제임스 포터를 배신했던 것은 페티그루였다. 자신의 아버지와 시리우스 블랙 간의 관계를 알게 된 해리는 시리우스 블랙과의 오해를 풀었고 시리우스는 자신이 제임스 포터와 한 약속을 얘기하며 해리포터의 대부가 되어준다. 그리고 페티그루를 마법부에 호송하여 시리우스 블랙의 무죄를 입증하고자 하였으나, 결국 페티그루를 놓치고 기회를 잃는다. 해리포터는 자신의 대부인 시리우스 블랙이 다시 아즈카반으로 끌려가는 것만큼은 용납할 수가 없었다. 이 사실을 덤블도어 교수에게 얘기하고 헤르미온느와 함께 과거로 돌.. 2023. 2. 18.
해리포터와 마법사의 돌 제1권 하: 용기 학기 초 덤블도어 교수가 금지명령을 내린 3층 복도에는 마법사의 돌이 숨겨져 있었다. 그리고 해리는 마법사의 돌을 누군가 노린다는 것을 알게 된다. 해리포터 曰 " 무슨 일이 있어도 난 오늘 밤에 여기를 나가서 그 돌을 먼저 손에 넣겠어. " 론 & 헤르미온느 曰 " 미쳤구나 " " 안돼, 맥고나걸 교수와 스네이프가 말했잖아? 넌 쫓겨날 거야! " 해리가 소리쳤다. " 그게 어떻다는 거야? " 생에 처음으로 행복을 찾게 된 해리, 그리고 그 행복을 가져다준 호그와트 마법학교, 해리는 자신에게 행복을 가져다준 호그와트를 지키기 위해 호그와트를 잃을 각오로 금지된 3층 복도에 있는 마법사의 돌을 지키기로 결심한다. 용 기 용기라는 것은 남들이 하지 못하는 것을 하는 것이 아니라, 두려움을 이겨내고 나아가는 .. 2023. 2. 2.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1-11. 새로운 우상에 대하여 차라투스트라는 말한다. " 국가라고? 그것이 무엇인가? 자! 이제 내 말에 귀를 기울여라. 그대들에게 민족의 죽음에 대해 말하려고 한다. " 국가라 하면 인류가 살아남기 위해 형성한 현시대까지의 집단 중 가장 큰 집단이라고 생각한다. 태초, 인류는 먹이 피라미드의 하단에 위치하여 생존력이 매우 낮았는데 인류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힘을 합치기 시작했다. 무리 사회에서 부족 사회로, 부족 사회에서 추장 사회로, 추장 사회에서 원시 국가로, 원시 국가에서 현대 국가로, 집단의 규모가 커질수록 인류의 생존력 또한 커지게 된 것이다. " 국가는 모든 냉혹한 괴물 가운데서 가장 냉혹한 괴물이다. 그 괴물은 냉혹하게 거짓말을 하기도 한다. " 규모가 커진 집단은 전원의 의사를 반영하여 운영을 할 수 없게 되었다. 그.. 2023. 1. 19.
이 방에서 가장 지혜로운 사람: 2부. 지혜로운 사람으로 사는 법 2부. [ 지혜로운 사람으로 사는 법 ] 1부는 마음속에서 일어나는 심리를 중심으로 다뤘었다. 구체적으로 객관적이라는 환상을 초월하는 법과 주변 환경과 상황을 활용하는 법에 대해 알아볼 수 있었고 언어와 행동이 갖는 힘과 시야를 넓힐 수 있는 지혜를 배울 수 있었다. 뒤이어 2부에서는 개인적·사회적 현상과 관련한 지혜를 다룬다. 행복한 삶을 사는 지혜, 갈등을 해결하는 지혜, 리딩을 하는 지혜, 환경을 지키는 지혜, 이제부터 네 가지 지혜에 대해 알아보자. 6장. 이 방에서 가장 행복한 사람은 누구인가 " 기쁨은 영원히 지속되지 않는다. ··· 슬픔도 마찬가지다. 사람은 환경이 바뀌더라도 그 변화에 곧 익숙해지며, 그 변화가 가져다주는 고통과 기쁨은 시간이 지나면 소멸한다. " 감정이란 것은 행복과 불행.. 2022. 11. 11.
보도 섀퍼의 나는 이렇게 부자가 되었다. 책에 대한 나의 한 줄 평은 이렇다. " 자신감, 책임감, 행동력이 삶에 미치는 영향을 다룬 서적 " '딱 한 줄만 써야 한다면 어떤 말을 쓸까?' 했을 때, 바로 떠오르는 세 단어였다. 그만큼 자신감, 책임감, 행동력에 대한 중요성을 인지할 수 있게 만들어 준 책이었다. 책에 대한 내용을 얘기하자면, 로버트 기요사키의 책 『부자 아빠, 가난한 아빠』와 일맥상통하는 부분이 많았던 책이었다. 돈을 위해 일하는 것이 아닌 돈이 일하게 만드는 것, 시스템을 갖추는 것, 안정을 추구하지 않는 것 ··· 추가적으로 보도 섀퍼는 부자를 생각하는 구조가 같은 사람들의 공동체라고 말하며 부자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는데, '성공'과 '부를 이룬 사람'들에 관련된 책을 읽으며 알게 되었던 공통점들이 떠오르며, 그 책.. 2022. 10. 20.